청년 구직자를 위한 AI·SW 디지털 교육 5만 명 이상 지원

청년 구직자를 위한 AI·SW 디지털 교육
청년 구직자를 위한 AI·SW 디지털 교육

(2025.02.05 고용노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내용정리)

1. 청년 디지털 교육 5만 명 이상 추진

고용노동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청년 구직자를 위한 디지털(AI·SW) 교육을 5만 명 이상 지원할 계획이다. 이 중 고용부는 4만 5000명 이상, 과기정통부는 1만 명 이상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두 부처는 2025년 2월 5일,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서 디지털 교육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관련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2.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협업 강화

고용부와 과기정통부는 청년 구직자들이 성장 가능성이 높은 디지털 신기술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주요 협력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K-디지털 트레이닝 및 맞춤형 교육 제공

  • 고용부: ‘K-디지털 트레이닝’ 등의 디지털 직업훈련 교육을 확대 추진
  • 과기정통부: 청년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실무 중심 교육과 전문 인재 양성 사업을 연계

② 교육 접근성 확대

  • 청년들이 쉽게 교육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온통청년’과 ‘고용24’ 플랫폼에 교육 프로그램 정보를 등록
  • ‘K-디지털 트레이닝’ 수료생이 과기정통부의 심화 과정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연계

③ 교육 인프라 공유

  • 과기정통부의 우수한 교육기관 및 교육시설을 ‘K-디지털 트레이닝’ 과정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

3. 디지털 신기술 분야 취업 지원

최근 청년층의 고용 시장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으며, 특히 ‘쉬었음’ 청년이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정부는 디지털 신기술 분야로의 취업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 교육과 ‘디지털 리더 특강’ 등을 신규 제공하여, 청년들이 디지털 분야에 흥미를 갖고 직업적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의 수시·경력직 중심 채용 경향에 맞춰 디지털 분야의 일경험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한다.

4. 정부의 기대와 향후 계획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디지털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라며, “고용부와의 협력을 통해 청년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AI G3 도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김문수 고용부 장관 또한, “이번 협약을 통해 청년들에게 폭넓은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적성과 흥미를 찾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며, “이 협력이 디지털 시대를 선도할 혁신 인재를 양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5. 현장 방문 및 의견 청취

업무협약 체결 이후, 양 부처 장관은 이노베이션 아카데미 시설을 방문하여 교육생들을 격려했다. 또한, 수료생들의 취업 성공 사례를 듣고, 교육 관계자들의 현장 의견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러한 협력은 단순한 교육 제공을 넘어, 청년들의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는 효과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자료출출처 : 정책브리핑

검색 키워드 태그

청년 디지털 교육, AI 교육, SW 교육, K-디지털 트레이닝, 청년 취업 지원, 과기정통부, 고용부, 디지털 신기술, 청년 일자리, 직업훈련

정책브리핑
정책브리핑









다음 이전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