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거안정장학금 첫 시행! 대학생 월 최대 20만 원 지원

2025년 주거안정장학금 첫 시행
2025년 주거안정장학금 첫 시행

(2025.02.04 교육부 내용정리)

📌 원거리 진학한 기초·차상위 대학생 대상, 3월 18일까지 신청 가능

올해부터 기초·차상위 계층 대학생 중 원거리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에게 **‘주거안정장학금’**이 지급됩니다. 학생들은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신청 기간은 2025년 2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입니다.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과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합니다.


📢 주거안정장학금 신청 대상 및 지원 내용

✅ 지원 대상

주거안정장학금을 받기 위해서는 학생이 재학 중인 대학이 해당 사업에 참여해야 하며, 현재 255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은 다음 기준을 충족해야 합니다.

  • 기초·차상위 계층 대학생
  • 원거리 진학을 한 학생 (부모님 주소지와 대학 소재지가 서로 다른 교통권)
  • 사업 참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 원거리 진학 판단 기준

  • 대학이 위치한 지역과 부모님 주소지가 다른 대도시권에 있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서울에 있는 대학에 다니고 부모님이 경기도 성남에 거주하는 경우 모두 수도권에 속해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 반면, 대전 소재 대학에 다니고 부모님이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서로 다른 교통권에 해당해 지원 대상이 됩니다.


💰 지원 금액 및 항목

주거안정장학금은 학기 중 월 최대 20만 원이 지급되며, 다음과 같은 주거 비용을 포괄적으로 지원 합니다.

  • 임차료: 전·월세, 기숙사비, 고시원비 등
  • 주거 유지·관리비: 공동주택 관리비, 수선 유지비 등
  • 수도·연료비: 상하수도 요금, 전기·가스·연탄 비용 등
  • 주택 임차·저당 차입금 이자 상환

이로 인해,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대학생들의 거주 안정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 신청 기간

📅 2025년 2월 4일(화) ~ 3월 18일(화)

✅ 신청 방법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www.kosaf.go.kr) 또는 한국장학재단 모바일 앱을 통해 24시간 신청 가능

✅ 상담 및 문의

  • 📞 전화상담: 1599-2000
  • 📍 방문 상담: 한국장학재단 지역 센터에서 1:1 맞춤형 상담 가능

📌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함께 진행!

📢 신입생·편입생·재입학생·복학생1차 신청을 놓친 재학생을 위한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같은 기간에 접수 합니다.

🛑 2차 신청 후에는 2025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이 불가하므로 반드시 기간 내 신청해야 합니다!

✅ 2025년부터 국가장학금 지원 대상이 기존 8구간에서 9구간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존에 지원 대상이 아니었던 학생들도 반드시 요건을 확인하고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주거안정장학금 지원 대상 Q&A

Q. 부모님이 성남시에 거주하고, 대학은 서울에 있습니다.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서울과 성남 모두 수도권에 해당해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Q. 부모님이 서울에 거주하고, 대학은 대전에 있습니다.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입니다. 서울(수도권)과 대전(대전권)은 서로 다른 교통권에 속하므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 부모님이 경상남도 진주에 거주하고, 대학은 경상남도 창원에 있습니다.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이 아닙니다. 창원과 진주는 인접한 시로 같은 교통권으로 인정됩니다.

Q. 부모님이 전라북도 남원시에 거주하고, 대학은 전라북도 전주에 있습니다.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입니다. 전주와 남원은 인접하지 않은 시이므로, 원거리 진학으로 인정됩니다.


📌 마무리 및 신청 독려

2025학년도 주거안정장학금은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제도이다.

기초·차상위 계층 학생이라면 반드시 신청 대상 여부를 확인할 것!
3월 18일까지 신청 마감!
국가장학금 2차 신청도 같은 기간 진행 중!

👉 지금 바로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세요!

🔗 한국장학재단 바로가기


📢 검색 키워드 태그

주거안정장학금, 대학생 장학금, 한국장학재단, 국가장학금, 원거리 진학, 기초차상위 대학생, 학비 지원, 월세 지원, 대학 기숙사, 학생 생활비


자료출처:정책브리핑

정책브리핑
정책브리핑


다음 이전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