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기업과 청년을 위한 든든한 지원책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2025.01.23 고용노동부 내용정리)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이 올해도 변화를 거듭하며, 기업과 청년 모두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빈 일자리 업종에 초점을 맞춘 '유형2'**를 신설해, 장기근속을 유도하며 더 많은 청년과 중소기업에 혜택을 제공합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의 주요 내용

1. 사업 개요와 목적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하여 청년들의 취업과 중소기업의 성장을 동시에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청년의 고용 안정과 기업의 인력난 해소를 목표로, 신규 채용 및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유형별 지원 내용

유형1: 취업애로청년 채용 지원
  • 대상 청년
    • 4개월 이상 실업 상태의 청년
    • 고졸 이하 학력의 청년
    • 졸업 후 고용보험 가입기간 1년 미만의 청년
    • 자립지원이 필요한 청년 등
  • 지원 대상 기업
    • 5인 이상 우선지원대상기업
  • 지원 혜택
    • 기업: 신규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시, 월 최대 60만 원씩 1년간 최대 720만 원 지원
유형2: 빈 일자리 업종 장기근속 지원 (2025년 신설)
  • 대상 업종
    • 제조업, 조선업, 뿌리산업, 보건복지업, 해운업 등 10개 빈 일자리 업종
  • 지원 혜택
    • 기업: 유형1과 동일하게 최대 720만 원 지원
    • 청년: 18개월 근속 시 240만 원, 24개월 근속 시 추가 240만 원 지급 (최대 480만 원)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든든한 인센티브

2025년 사업의 특징은 청년과 기업 모두에게 장려금을 지급함으로써 장기근속일자리 안정성을 강화한 것입니다. 청년에게는 최대 480만 원의 근속 장려금이 제공되며, 기업에는 신규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재정적 지원이 이어집니다.

기대 효과와 정부의 비전

홍경의 고용부 청년고용정책관은 “청년들의 구직 부담 완화와 빈 일자리 해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이번 제도의 목표”라며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 취업난과 구인난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청 및 자세한 정보

신청기간: 2025년 1월 23일부터
신청 방법: 고용24 온라인 플랫폼

청년과 중소기업의 미래를 지원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자료출처:정책브리핑

정책브리핑
정책브리핑


키워드 태그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취업지원, 빈일자리, 중소기업지원, 고용노동부, 취업애로청년, 장기근속지원, 2025청년정책, 고용24, 인센티브

다음 이전

POST ADS 2